러시아 해방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해방군(ROA)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과 협력하여 소련에 대항한 러시아인들로 구성된 군사 조직이다. 초기에는 'Hiwi'로 불리는 지원병들이 후방 지원 임무를 수행했으며, 이후 소련 전쟁 포로들을 중심으로 ROA가 결성되었다. 안드레이 블라소프 장군이 주도하여 창설되었지만, 히틀러의 불신으로 인해 초기에는 선전 목적으로만 활용되었다. 1944년 가을, 10개의 사단 창설이 허가되었지만, ROA는 공식적으로 독일 국방군에서 분리되어 러시아 민족 해방 위원회의 지휘를 받았다. ROA는 오데르 전선에서 잠시 전투를 벌였고, 프라하 봉기에 참여하여 체코 파르티잔을 지원하기도 했다. 종전 후, ROA 병사들은 연합군에 항복했지만, 대부분 소련으로 송환되어 반역죄로 처벌받았으며, 블라소프를 포함한 지도자들은 처형되었다. 소련 붕괴 후 ROA에 대한 재평가 시도가 있었지만, 그들의 역사적 유산은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국방군의 외인의용부대 - 무장친위대 인도 의용군단
무장친위대 인도 의용군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수바스 찬드라 보스의 주도 하에 나치 독일에서 창설된 인도인 의용 부대로, 영국령 인도 육군 포로와 독일에 거주하는 인도인 망명자들을 주축으로 구성되었으며, 인도 독립을 목표로 활동했지만 제한적으로 참여 후 해체되어 나치 독일과의 협력 논란 속에서도 인도 독립 운동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 독일 국방군의 외인의용부대 - 아제르바이잔 군단
아제르바이잔 군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국방군과 무장친위대에 복무한 아제르바이잔인으로 구성된 군사 조직으로, 독일이 소련군 포로와 무슬림 자원병을 모집하여 창설되었으며 바르샤바 봉기 진압 등에 참여하여 악명을 떨쳤다. - 1944년 설립 - 영국 태평양 함대
영국 태평양 함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태평양 전선에서 활동한 영국 해군의 함대로, 1944년에 창설되어 1948년에 해산되었으며, 미국 해군의 지휘를 받아 팔렘방 정유소 공격, 오키나와 전투 지원, 일본 본토 공격 등의 작전을 수행하고 일본 항복 문서 조인식에 참여했다. - 1944년 설립 - 골든 글로브상
골든 글로브상은 할리우드 외신기자협회가 설립되어 시작된 영화 및 텔레비전 시상식으로, 다양한 작품과 배우들에게 상을 수여하며 세계적으로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지만, 논란과 보이콧을 겪은 후 재단으로 재편되어 현재는 영화와 텔레비전 각 부문에서 다양한 상을 시상하고 전 세계에 방송된다. - 1945년 폐지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5년간 지속된 시기로, 강제 병합, 경제적 착취, 정치적 억압, 문화적 동화 정책 등이 특징이며, 3·1 운동과 같은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고, 위안부 문제 등 심각한 인권 유린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논의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1945년 폐지 - 일본 제국 육군
일본 제국 육군은 1871년부터 시작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며 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했고, 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 후 해체되어 육상자위대가 창설되었다.
러시아 해방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러시아 해방군 |
원어 명칭 | de: Russische Befreiungsarmee (독일어) ru: Русская освободительная армия (러시아어) |
로마자 표기 | ru: Russkaya osvoboditel'naya armiya (러시아어) |
약칭 | ru: РОА (러시아어) ru: ROA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 |
별칭 | ru: Власовская армия (러시아어) ru: Vlasovskaya armiya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 ru: Власовцы (러시아어) |
한국어 별칭 | 블라소프 군대, 블라소프 부대 |
관련 단체 | ru: Вооружённые силы Комитета освобождения народов России (러시아어) ru: Vooruzhonnyye sily Komiteta osvobozhdeniya narodov Rossii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 ru: ВС КОНР (러시아어) ru: VS KONR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 러시아 인민 해방 위원회 |
군사 정보 | |
활동 기간 | 1943년 (오스트 부대) / 1944년 (공식) – 1945년 |
국가 | 나치 독일 (1945년 1월까지) |
소속 | 러시아 인민 해방 위원회 (1944년 11월부터) |
병과 | 보병, 공군 |
규모 | 125,000명 (1945년) |
지휘관 | 안드레이 블라소프 (1945년 1월부터) 세르게이 부냐첸코 미하일 메안드로프 |
![]() | |
깃발 | image_file: Naval Ensign of Russia.svg image_file: Flag of the Russian Liberation Army (1944–1945).svg image_file: Flag of Russia.svg |
군가 | 넓은 들판을 행진하네 |
전투 |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동부 전선 4월의 날씨 작전 프라하 공세 프라하 봉기 서부 전선 |
2. 역사적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초기, 독소전쟁이 발발하면서 독일군에 포로로 잡힌 소련군 병사들 중 일부는 스탈린 체제에 대한 반감, 민족주의적 열망, 혹은 가혹한 포로 생활에서 벗어나기 위한 생존 전략으로 독일군에 협력하기 시작했다. 많은 소련 전쟁 포로들은 소련 포로를 굶어 죽게 만드는 것으로 악명 높은 나치 포로 수용소에서 벗어나기 위해, 독일군 지휘 하에 자원하여 복무했다. 그 결과, 일부 붉은 군대 병사들은 존재하지 않는 군대에 합류하려는 희망으로 항복하거나 탈영하기도 했다.
한편, 포로로 잡힌 소련 장군 블라소프는 독일군 및 러시아 동맹군과 함께 독일 국방군 최고 사령부에 러시아 통제 하의 무장 부대 창설을 승인받으려 로비를 벌였다. 블라소프와 ROA의 지위에 대한 정치적 논쟁과는 별개로, 1943년 중반까지 수십만 명의 전직 소련 지원병들이 독일군에서 'Hiwi' 또는 동부 지원 부대로 복무하고 있었다. 이들은 주로 동부 군대와 군집단의 후방에서 보안 역할을 수행했으며, 1942년 초부터 소련 파르티잔 세력의 활동에 대응하려는 독일의 노력의 주요 부분을 차지했다. 그러나 독일군은 항상 그들의 신뢰성에 대해 우려했다.
1943년 여름 독일의 패배 이후, 부대들은 붕괴되기 시작했다. 일련의 반란 시도 또는 성공, 그리고 탈영의 급증에 따라, 독일군은 1943년 9월에 부대의 신뢰성이 자산이라기보다는 부담이 되는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결정했다. 러시아 지원병이 지역 주민과의 접촉을 피하면 신뢰성이 향상될 것이라고 판단하여, 그들을 서부 전선으로 보내기로 결정했으며, 그들의 대부분은 1943년 말 또는 1944년 초에 재배치되었다. 이들 대대 중 다수는 서부의 사단에 통합되었다. 많은 러시아 병사들이 노르망디의 D-데이에 경계를 섰지만, 연합군과 싸울 장비나 동기가 부족하여 대부분 즉시 항복했다.
2. 1. 초기 협력과 'Hiwi'
이들 지원병은 'Hiwi'(힐프스빌리거, "도움을 기꺼이 제공하는 자"로 번역될 수 있음)라고 불렸으며, 독일의 지휘 아래 여러 비전투 임무를 수행했다. 이들 중 다수는 스탈린그라드 전투에 투입되었는데, 당시 제6군 전력의 4분의 1이 소련 시민으로 추산되었다.[2] 얼마 지나지 않아, 여러 독일 지휘관들은 이들을 소련 파르티잔과의 전투, 차량 운전, 부상자 이송, 보급품 전달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소규모 무장 부대에 사용하기 시작했다.[2]많은 소련 전쟁 포로들은 나치 포로 수용소에서 벗어나기 위해 독일군 지휘 아래 자원하여 복무했다. 이 수용소들은 소련 포로를 굶어 죽게 만드는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3]
2. 2. 블라소프 장군의 등장과 ROA의 형성
1942년 독일군에 투항한 블라소프 중장은 소련 포로들을 모아 반소(反蘇) 군사 조직을 만들고자 했다. 그는 나치 독일 지도부에 러시아 해방군(ROA) 창설을 제안하며, 스탈린 체제 전복과 새로운 러시아 건설을 목표로 내세웠다.[18] 그러나 히틀러는 러시아인들을 불신하여 ROA의 본격적인 무장을 꺼렸고, 초기에는 선전 목적으로만 활용했다.


하인리히 힘러가 히틀러를 설득하여 10개의 러시아 해방군 사단 창설을 허가한 1944년 가을까지 ROA는 공식적으로 존재하지 않았다. 1944년 11월 14일 프라하에서 블라소프는 새로 창설된 러시아 민족 해방 위원회 앞에서 프라하 선언을 낭독했다. 이 문서는 스탈린과의 전투 목적을 밝히고, 군대가 싸우는 14개 조항을 명시했다. 문서에 반유대주의 수사를 포함하라는 독일의 주장은 블라소프의 위원회에 의해 성공적으로 회피되었지만, 서방 연합국을 비판하는 성명을 포함해야 했다. 그들은 서방 연합국을 "금권 정치"로 묘사하고 "유럽 정복에서 스탈린의 동맹"이라고 비난했다.
1945년 2월까지 부냐첸코 장군의 지휘하에 제1 보병 사단 (제600 보병) 한 개 사단만이 완전히 편성되었다. 뷘징겐에서 창설된 이 부대는 오데르 전선에서 잠시 전투를 벌인 후, 진영을 바꿔 체코인들이 프라하 봉기를 통해 프라하를 해방하는 것을 도왔다. 제2 보병 사단 (제650 보병)은 라거 호이베르크를 떠났을 때 미완성 상태였지만 미안드로프 장군의 지휘하에 투입되었다. 이 사단에는 많은 수의 동부 노동자들이 합류하여 남쪽으로 행군하면서 거의 두 배로 증가했다. 제3 보병 사단(제700 독일 보병)은 편성을 시작했을 뿐이었다.
러시아 군단, 판비츠 장군의 제15 SS 코사크 기병 군단, 아타만 도마노프의 코사크 캠프 및 기타 주로 백색 이민 부대와 같은 다른 여러 러시아 부대가 블라소프의 군대에 합류하기로 동의했다. 그러나 사건의 전개로 인해 블라소프가 어떤 작전에서도 이 병력을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심지어 신뢰할 수 있는 통신조차 종종 불가능했다) 그들의 소속은 여전히 ''de jure'' 상태였다.
ROA 자원병의 소규모 그룹은 1945년 2월 9일 붉은 군대에 맞서 싸웠다. 그들의 투지는 하인리히 힘러의 칭찬을 받았다.[18] 러시아 해방군이 붉은 군대에 맞서 수행한 유일한 활동 전투는 1945년 4월 11일 오데르 강에서 벌어진 전투로, 주로 힘러의 요구에 따라 군대의 신뢰성을 시험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사흘 후, 수적으로 열세였던 제1 사단은 퇴각해야 했다.
1945년 1월 28일, 러시아 사단은 더 이상 독일군의 일부가 아니며 KONR의 직접적인 지휘를 받게 될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19]
블라소프는 제1 사단에게 그를 따르는 모든 반공산주의 러시아군을 집결시키기 위해 남쪽으로 행군하라고 명령했다. 그는 군대 전체가 "유리한" 조건, 특히 송환이 없는 조건으로 서방 연합국에 항복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블라소프는 ROA의 목표에 공감하고 잠재적으로 소련과의 불가피한 미래 전쟁에 사용할 수 있기를 바라며 서방 연합국에 항복 협상을 시작하기 위해 몇몇 비밀 대표단을 보냈다.
독소전에서, 스탈린 타도를 목표로 하는 "" (독일 측에 붙은 소련인 포로 부대)라는 집단은 존재했지만, 이들은 독일군의 지휘 하에 있었고, 게다가 "조국의 해방"을 목표로 하는 동부 전선이 아닌, 독일 점령 하의 서유럽 여러 나라에서 레지스탕스 투쟁에 종사하고 있었다. 자칫하면 사기가 저하되기 쉬운 서유럽 각지에 흩어져 있는 "동방 부대"의 병사들에게, 자신들은 러시아인 총사령관의 지휘 하에 스탈린 체제 타도라는 공통의 대의를 가지고 싸우고 있다는 감정을 주는 선전상의 상징에 불과했다.
2. 3. 이념 및 노선 갈등
블라소프와 러시아 해방군(ROA)의 이념은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았지만, 대체로 반공주의와 러시아 민족주의를 표방했다.[11] 그러나 ROA 내부에는 나치즘에 동조하는 세력과 민주주의적 러시아를 지향하는 세력 간의 갈등이 존재했다.[10][11]
일부 ROA 지도자들은 Зыков, Милет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밀레티 지코프ru와 같이 스스로를 "마르크스주의자"라고 묘사하며,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을 견지하기도 했다.[14] 지코프는 부하린주의자로 묘사되기도 했다. 이는 나치 독일과의 이념적 차이를 드러냈다. 실제로 나치는 블라소프와 그의 조직 및 이념적 입장을 의심했으며, 게슈타포는 블라소프파가 제국을 배신할 가능성에 대해 경고했다.[15][16][17]
3. 러시아 해방군 (ROA) 창설 (1944)
1944년에 들어서면서 전황이 악화되자, 나치 독일은 공식적인 "동방 정책"을 포기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친위대 사령관 하인리히 힘러는 지원을 제안했고, 9월에 힘러와 블라소프 사이에 회담이 열려 러시아 해방을 위한 정치 조직과 독자적인 군대 창설이 합의되었다.
정치 조직으로는 러시아 민족 해방 위원회가 창설되었다. 힘러는 독일군이 대부분의 소련 영토를 회복할 경우 이 위원회가 러시아 임시 정부가 될 것을 약속했다. 1945년 1월에는 "동방 부대"의 지휘권을 정식으로 독일 국방군으로부터 넘겨받아 두 개의 사단을 포함하여 50,000명 정도의 병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그러나 전황은 절망적이었고, ROA는 효과적인 전투를 거의 하지 못했다. 1945년 3월, 제1사단 약 20,000명은 동부 전선에 출동하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이미 독일군이 아닌 블라소프 총사령관의 지휘하에 있다는 점을 내세워 명령 수행을 꺼리고, 4월에는 체코슬로바키아에 들어갔다.
나치 독일은 1945년 5월 9일에 항복했고, 그와 함께 러시아 해방군도 연합군에 투항했다. 이들은 서방으로의 정치적 망명을 원했지만, 대부분은 소련군에 체포되거나 연합군에 의해 소련군에게 인도되어 처형되었다. 소련 붕괴 후, 러시아 해방군 장병들은 명예 회복의 대상이 되었지만, 블라소프의 명예 회복은 기각되었다.
3. 1. 프라하 선언 (1944.11)
1944년 11월 14일, 블라소프는 프라하에서 새로 창설된 러시아 민족 해방 위원회 앞에서 프라하 선언을 낭독했다. 이 선언은 스탈린과의 전투 목적을 밝히고, 러시아 해방군(ROA)이 싸우는 14개 조항을 명시했다.[18] 나치 독일은 선언에 반유대주의적 표현을 포함하라고 주장했지만, 블라소프 위원회는 이를 회피했다. 그러나 서방 연합국을 "금권 정치"로 묘사하고 "유럽 정복에서 스탈린의 동맹"이라고 비난하는 성명을 포함해야 했는데, 이는 독일의 요구에 따른 타협이었다.[18]3. 2. 부대 편성 및 실전 참여
ROA는 1944년 가을 하인리히 힘러가 히틀러를 설득하여 10개의 러시아 해방군 사단을 창설하도록 허가하면서 공식적으로 존재하게 되었다.[18] 1945년 1월 28일, 러시아 사단은 더 이상 독일군의 일부가 아니며 KONR의 직접적인 지휘를 받게 될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19] 1945년 2월까지 세르게이 부냐첸코 장군의 지휘하에 제1 보병 사단 (제600 보병) 한 개 사단만이 완전히 편성되었다. 뷘징겐에서 창설된 이 부대는 오데르 전선에서 잠시 전투를 벌인 후, 진영을 바꿔 체코인들이 프라하 봉기를 통해 프라하를 해방하는 것을 도왔다. 제2 보병 사단 (제650 보병)은 라거 호이베르크를 떠났을 때 미완성 상태였지만 미하일 미안드로프 장군의 지휘하에 투입되었다. 제3 보병 사단(제700 독일 보병)은 편성을 시작했을 뿐이었다.
VS-KONR의 편성은 다음과 같았다:[19][18]
사단 | 지휘관 | 비고 |
---|---|---|
KONR 제1사단 (제600 (러시아) 보병 사단) | 세르게이 부냐첸코 소장 | 해체된 카민스키 여단의 구성원 포함. 총 2만 명 정도였다. |
KONR 제2사단 (제650 (러시아) 보병 사단) | 그리고리 즈베레프 소장 | 완전 무장 또는 준비가 되지 않았으며, 11,856명의 병력이 있었다. |
KONR 제3사단 (제700 (러시아) 보병 사단) | 미하일 샤팔로프 소장 | 편성을 완료하지 못했으며, 약 10,000명의 비무장 병력이 있었다. |
'''공군 전력'''
:I. ''Ostfliegerstaffel (russische)'' (제1 동부 비행대-러시아) (1943–1944)
:II. ''Störkampfstaffel'' (야간 괴롭힘 비행대) 8 (1945)
:KONR 공군
소련 공군의 에이스 조종사 두 명인 세묜 트로피모비치 비치코프와 Антилевский, Бронислав Романович|브로니슬라프 로마노비치 안틸레프스키ru는 탈영하여 ROA 공군의 일원이 되었으며, ROA 공군은 Мальцев, Виктор Иванович|빅토르 이바노비치 말체프ru 소장이 지휘했다. 공군은 1944년 7월에 해산되었다.
ROA 자원병의 소규모 그룹은 1945년 2월 9일 붉은 군대에 맞서 싸웠다. 그들의 투지는 하인리히 힘러의 칭찬을 받았다.[18] 러시아 해방군이 붉은 군대에 맞서 수행한 유일한 활동 전투는 1945년 4월 11일 오데르 강에서 벌어진 전투로, 주로 힘러의 요구에 따라 군대의 신뢰성을 시험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사흘 후, 수적으로 열세였던 제1 사단은 퇴각해야 했다.
3. 3. 프라하 봉기 (1945.5)
남쪽으로 행군하던 ROA 제1사단은 1945년 5월 5일에 시작된 독일 점령에 맞선 프라하 봉기에서 체코 파르티잔을 도왔다. 블라소프는 처음에 이 결정에 동의하는 것을 꺼렸지만, 결국 독일군과 싸우기로 한 부냐첸코 장군의 결정에 반대하지 않았다.[20]제1사단은 도시를 파괴하기 위해 파견된 무장 친위대 부대와 전투를 벌였다. 중무장한 ROA 부대는 끈질긴 SS의 공격을 막아냈고, 체코 반군과 함께 프라하의 대부분을 파괴로부터 지켜냈다.[21] 새로운 체코 라다 ("의회")에서 공산주의자가 우세했기 때문에, 제1사단은 바로 다음 날 도시를 떠나 패튼 장군의 미국 제3군에 항복하려 했다. 그러나 서방 연합군은 ROA를 돕거나 보호하는 데 관심이 없었고, 그러한 지원이 소련과의 관계를 해칠까 두려워했다.[9]
이후 사단은 레지스탕스 측에 가세하기로 결정하고 독일 친위대와 싸웠다. 5월 7일, 연합군의 도착 전에 사단의 손으로 프라하가 해방되었다.
4. 종전과 몰락
독일의 패색이 짙어지자, 러시아 해방군(ROA)은 나치 독일에 대한 협력을 중단하고 서방 연합군에 투항하려 했다. 남쪽으로 이동하던 ROA 제1사단은 1945년 5월 5일에 시작된 프라하 봉기에서 독일 점령군에 맞서 체코 파르티잔을 지원했다.[20] 블라소프는 처음에는 망설였지만, 결국 부냐첸코 장군의 결정에 따라 독일군과 싸우기로 했다.[20]
중무장한 ROA 부대는 무장 친위대의 공격을 막아내고, 체코 반군과 함께 프라하를 파괴로부터 지켜냈다.[21] 그러나 공산주의자들이 주도하는 새로운 체코 ''라다'' ("의회")는 ROA에 등을 돌렸고, 제1사단은 다음 날 도시를 떠나 조지 S. 패튼 장군이 이끄는 미국 제3군에 항복을 시도했다. 그러나 서방 연합군은 ROA를 돕거나 보호하는 데 관심이 없었고, 소련과의 관계가 악화될 것을 우려했다.[9]
4. 1. 서방 연합군의 배신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서방 연합군은 러시아 해방군(ROA) 병사들의 망명 요청을 거부하고, 얄타 회담 등에서 합의된 소련과의 협정에 따라 이들을 소련으로 송환했다.[9] 미국 제44보병사단을 비롯한 미군은 1,000명 이상의 ROA 병사들을 구금했지만, 연합군 사령부는 모든 ROA 병사를 소련으로 돌려보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다만, ROA 병사들에게 동정심을 느낀 일부 연합군 장교들은 소규모 그룹이 미국 통제 구역으로 탈출하는 것을 묵인하기도 했다.[9]4. 2. 소련의 처벌
소련 정부는 ROA 병사(''블라소프치'') 모두를 반역자로 낙인찍고, 송환된 사람들은 재판을 받게하여 감옥 수용소에 갇히는 형을 선고했다.[22] 블라소프와 ROA의 다른 지도자들은 1946년 8월 1일 모스크바에서 재판을 받고 교수형에 처해졌다.[22]처음에 1,000명 이상의 병사가 미국 제44보병사단과 다른 미군에 의해 연합군에 구금되었다. 그러나 연합군 사령부는 오랫동안 비밀로 유지한 조치에 의해, 처칠과 스탈린 사이의 이전 합의에 따라 모든 ROA 병사가 소련으로 반환될 것이라는 이유를 들어 서방 연합군에 의해 강제로 소련으로 넘겨졌다. ROA 병사들에게 동정심을 가진 일부 연합군 장교들은 소규모 그룹으로 미국이 통제하는 구역으로 탈출하도록 허용하기도 했다.
5. ROA에 대한 역사적 평가와 논란
러시아 해방군(ROA)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매우 복잡하고 논란의 여지가 많다. ROA는 제2차 세계 대전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탄생했으며, 이들을 둘러싼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독일군은 ROA를 신뢰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감시했다. 1943년 독일의 패배 이후, 부대원들의 탈영과 반란이 빈번해지자, 독일군은 이들을 서부 전선으로 재배치했다. 많은 러시아 병사들은 노르망디에서 연합군과 싸웠지만, 장비와 사기가 부족하여 대부분 항복했다.[8]
한편, ROA는 프라하 봉기에서 독일군에 맞서 싸우기도 했다. ROA 제1사단은 프라하를 파괴하려는 무장 친위대 부대에 맞서 체코 파르티잔을 지원하여 도시를 지키는데 기여했다.[20][21]
전쟁이 끝난 후, 소련 정부는 모든 ROA 병사들을 반역자로 낙인찍었고, 이들은 재판을 받고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다. 블라소프를 포함한 ROA 지도자들은 1946년 모스크바에서 처형되었다.[22]
ROA는 스탈린 체제에 대한 반감, 러시아 민족주의, 생존 본능 등 복잡한 동기가 작용한 결과였다. 그러나 나치 독일과의 협력은 이들의 역사에 씻을 수 없는 오점으로 남아있다.
5. 1. 복잡한 역사적 유산

로버트 콘퀘스트는 블라소프의 "프로그램은 그가 나치즘에 전혀 동조하지 않았으며, 오직 민주적인 러시아에만 관심이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썼다.[10] 이념적으로, 블라소프 운동은 소련에 대한 증오와 러시아 민족주의 외에는 대체로 정의되지 않은 이념을 가지고 있었다. 이 운동은 나치의 지원을 받아 블라소프를 둘러싼 NTS와 더 군주주의적, 사회 민주주의적 견해를 가진 다른 포로들로 분열되었다.[11]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콘퀘스트와 소련 반체제 인사들의 견해를 비판하며, 블라소프에 대한 반공산주의 문헌이 "ROA 군인들의 문서화된 나치 동조와 범죄를 얼버무린다"고 지적한다.[12]
블라소프파는 스몰렌스크 선언, 블라소프의 공개 서한 "내가 볼셰비즘에 반대하여 싸우기로 결정한 이유", KONR의 프라하 선언, ''블록노트 프로파간다스타'' 등의 문서를 통해 서방 자본주의와 스탈린주의에 모두 반대했으며, 2월 혁명과 10월 혁명을 구별하지 않고 1917년의 "혁명을 완수"하는 데 헌신한다고 선언했다.[14]
이러한 문서들은 민족 자결권과 같은 기본적인 민주적 자유와 권리를 주장했으며 반유대주의적 발언은 포함하지 않았다. ''블록노트 프로파간다스타''는 마르크스주의 비판을 시도하며 국제주의와 민족적 배타주의를 모두 부인했다. 그러나 바실리 말리시킨의 연설과 게오르기 질렌코프가 ''푈키셔 베오바흐터''에 한 인터뷰에서는 반유대주의적 발언이 나타났다. 블라소프는 이러한 발언을 비판하며 "유대인 문제는 러시아 내부 문제이며, [ROA가] 기존 정권을 전복하는 주요 목표를 달성한 후에 처리될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Зыков, Милет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ru가 편집한 것을 포함하여 친블라소프 나치 및 협력 신문에서는 반유대주의가 자주 나타났다.[14]
나치는 블라소프, 그의 조직 및 이념적 입장을 의심했으며, 게슈타포는 블라소프파가 제국을 배신할 가능성을 경고했다. 에버하르트 타우베르트 선전부 관리는 이 운동이 "민족 사회주의적이지 않다"며, "유대인을 상대로 싸우지 않고 유대인 문제가 전혀 인식되지 않는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우려를 표했다.[15][16][17]

ROA는 제2차 세계 대전의 복잡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탄생했으며, 이들에 대한 평가는 단순하지 않다. 스탈린 체제에 대한 반감, 민족주의, 생존 본능 등 다양한 동기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으며, 나치 독일과의 협력은 이들의 역사적 평가에 큰 오점으로 남아있다.
6. 주요 인물
러시아 해방군(ROA)의 주요 인물로는 안드레이 블라소프와 세르게이 부냐첸코 등이 있다. 블라소프는 ROA의 최고 지도자였으며, 1944년 러시아 민족 해방 위원회(KONR)를 창설하고 프라하 선언을 발표하여 스탈린과의 전투 목적을 밝혔다.[18] 부냐첸코는 KONR 제1사단의 지휘관으로, 프라하 봉기에서 독일군에 맞서 싸우며 프라하를 지키는 데 기여했다.[19][18]
사단 | 지휘관 | 비고 |
---|---|---|
제600 (러시아) 보병 사단 KONR 제1사단 | 세르게이 부냐첸코 소장 | 해체된 카민스키 여단의 구성원 포함. 총 2만 명 정도였다. |
제650 (러시아) 보병 사단 KONR 제2사단 | 그리고리 즈베레프 소장 | 완전 무장 또는 준비가 되지 않았으며, 11,856명의 병력이 있었다. |
제700 (러시아) 보병 사단 KONR 제3사단 | 미하일 샤팔로프 소장 | 편성을 완료하지 못했으며, 약 10,000명의 비무장 병력이 있었다. |
소련 공군의 에이스 조종사였던 세묜 트로피모비치 비치코프와 Антилевский, Бронислав Романович|브로니슬라프 로마노비치 안틸레프스키ru는 탈영하여 Мальцев, Виктор Иванович|빅토르 이바노비치 말체프ru 소장이 지휘한 ROA 공군에 합류했다.
그 외에도 Зыков, Милет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밀레티 알렉산드로비치 지코프ru는 ROA의 주요 이념가 중 한 명이었다.[14]
6. 1. 안드레이 블라소프
로버트 콘퀘스트는 블라소프의 "프로그램은 그가 나치즘에 전혀 동조하지 않았으며, 오직 민주적인 러시아에만 관심이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썼다.[10]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콘퀘스트와 소련 반체제 인사들의 견해를 비판하며, 블라소프에 대한 반공산주의 문헌이 "ROA 군인들의 문서화된 나치 동조와 범죄를 얼버무린다"고 지적한다.[12] 줄리아 샤피로는 "블라소프는 독일과의 협력을 피할 수 있었다"고 강조한다.[12] 벤자민 트롬리는 블라소프가 운영하는 언론 기관과 러시아 선전 요원 훈련소가 민족 사회주의를 칭찬하고 나치의 반유대주의 선전을 퍼뜨렸다고 지적한다.[13]
블라소프의 측근 중 일부는 스스로를 "마르크스주의자"라고 묘사했으며, 지코프는 부하린주의자로 묘사되기도 했다. 블라소프파는 스몰렌스크 선언, 블라소프의 공개 서한, KONR의 프라하 선언 등에서 서방 자본주의와 스탈린주의 모두에 반대했으며, 2월 혁명과 10월 혁명을 구별하지 않고 1917년의 "혁명을 완수"하는 데 헌신한다고 선언했다.[14]
이러한 문서는 민족의 자결권과 같은 기본적인 민주적 자유와 권리를 주장했지만, 반유대주의적 발언은 없었다. 그러나 바실리 말리시킨의 연설과 게오르기 질렌코프가 ''푈키셔 베오바흐터''에 한 인터뷰에서 반유대주의적 발언이 나왔다. 블라소프는 이러한 발언을 비판했지만, 반유대주의는 지코프가 편집한 것을 포함하여 친블라소프 나치 및 협력 신문에서 자주 나타났다.[14]
나치는 블라소프, 그의 조직 및 그의 이념적 입장을 의심했으며, 게슈타포는 블라소프파가 제국을 배신할 가능성에 대해 경고했다. 에버하르트 타우베르트 선전부 관리는 이 운동이 "민족 사회주의적이지 않다"는 우려를 표명하며, "유대인을 상대로 싸우지 않고 유대인 문제가 전혀 인식되지 않는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15][16][17]
1944년 하인리히 힘러는 히틀러를 설득하여 10개의 러시아 해방군 사단을 창설하도록 허가했다. 11월 프라하에서 블라소프는 새로 창설된 러시아 민족 해방 위원회 앞에서 프라하 선언을 낭독했다. 이 문서는 스탈린과의 전투 목적과 군대가 싸우는 14개 조항을 명시했다.
6. 2. 세르게이 부냐첸코
세르게이 부냐첸코 소장은 KONR 제1사단 지휘관이었다.[19][18]사단 | 지휘관 | 비고 |
---|---|---|
제600 (러시아) 보병 사단 KONR 제1사단 | 세르게이 부냐첸코 소장 | 해체된 카민스키 여단의 구성원 포함. 총 2만 명 정도였다. |
제650 (러시아) 보병 사단 KONR 제2사단 | 그리고리 즈베레프 소장 | 완전 무장 또는 준비가 되지 않았으며, 11,856명의 병력이 있었다. |
제700 (러시아) 보병 사단 KONR 제3사단 | 미하일 샤팔로프 소장 | 편성을 완료하지 못했으며, 약 10,000명의 비무장 병력이 있었다. |
ROA 제1사단은 남쪽으로 행군하던 중 1945년 5월 5일에 시작된 프라하 봉기에서 독일 점령에 맞서 체코 파르티잔을 도왔다. 블라소프는 처음에는 그 움직임에 동의하는 것을 꺼렸지만, 결국 독일군과 싸우기로 한 부냐첸코 장군의 결정에 반대하지 않았다.[20]
제1사단은 도시를 파괴하기 위해 파견된 무장 친위대 부대와 전투를 벌였다. 중무장한 ROA 부대는 끈질긴 SS의 공격을 막아냈고, 체코 반군과 함께 프라하의 대부분을 파괴로부터 지켜냈다.[21]
6. 3. 기타 인물
Зыков, Милет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지코프, 밀레티 알렉산드로비치ru는 러시아 해방군(ROA)의 주요 이념가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스스로를 "마르크스주의자"라고 묘사했으며, 부하린주의자로도 묘사되었다.[14] 그는 나치 비밀 경찰에 체포되어 살해되었는데, 표면적인 이유는 그의 유대인 출신과 견해 때문이었다.[14] 하지만 그는 러시아 민족 해방 위원회가 결성되기 전부터 블라소프 군대의 주요 이념가였으며, 다른 블라소프파 프로그램 문서 작성에 참여했다.[14]참조
[1]
논문
Leaning on Legionnaires: Why Modern States Recruit Foreign Soldiers
https://direct.mit.e[...]
2021-07-30
[2]
서적
The Stalingrad Cauldron: Inside the Encirclement and Destruction of 6th Army
U of Kansas
2013
[3]
웹사이트
РОА: предатели или патриоты? | История, культура и традиции Рязанского края
https://62info.ru/hi[...]
[4]
문서
Entweichen von HiWi
Bundesarchiv-Militärarchiv (BA-MA)
1943-09-14
[5]
문서
Meutereien in der Nacht vom 12. zum 13.9.43, geplante Meuterei in der Nacht vom 19. zum 20 September 1943, Zuverlässigkeit der Ostverbänden
Bundesarchiv-Militärarchiv (BA-MA)
1943-09-16, 1943-09-23, 1943-09-30, 1943-10-07
[6]
문서
Zuverlässigkeit landeseigener Verbände
Bundesarchiv-Militärarchiv (BA-MA)
1943-10-01
[7]
문서
Verlegung von Landeseigenen Verbänden
Bundesarchiv-Militärarchiv (BA-MA)
1943-09-30
[8]
문서
Auskämmaktion unzuverlässiger Ostverbände, Zusammenstellung über Osttruppen
Bundesarchiv-Militärarchiv (BA-MA)
1943-11-04, 1943-10-25
[9]
웹사이트
"Рубать немцев, освободить Прагу"
https://www.svoboda.[...]
[10]
서적
The Great Terror: A Reassessme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11]
서적
Covert Network: Progressives, the International Rescue Committee, and the CIA
https://books.google[...]
[12]
논문
Nazi Conspirator, Russian Patriot: Judging General Andrei Vlasov
https://journals.flv[...]
University of Florida
2022
[13]
논문
Beyond Betrayal: Recent Russian Scholarship on Vlasov and Russian Collaboration
https://onlinelibrar[...]
University of Puget Sound
[14]
서적
Vlasov and the Russian Liberation Movement: Soviet Reality and Emigré Theo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15]
서적
Vlasov: Translated from the German by Abe Farbstein. [1st American Ed.]
https://books.google[...]
Knopf
1970
[16]
서적
Problems of Communism
https://books.google[...]
Documentary Studies Section, International Information Administration
1958
[17]
웹사이트
Revolution and Politics in Russia
https://publish.iupr[...]
2024-08-00
[18]
서적
The Unknown Eastern Front: The Wehrmacht and Hitler's Foreign Soldiers
I.B. Tauris
2012
[19]
서적
Foreign Volunteers of the Wehrmacht 1941-45
Osprey Publishing
[20]
서적
"Enemies of the People" Under the Soviets: A History of Repression and Its Consequenc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5
[21]
웹사이트
75. výročí konce 2. světové války v Evropě
https://vitezstvi.pr[...]
[22]
웹사이트
Кто в 1945 году освободил Прагу?
https://www.bbc.com/[...]
2015-05-08
[23]
웹사이트
Русская Освободительная Армия 1942-45гг.
http://army.armor.ki[...]
2019-0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